소개글
〈소개 글, 서평〉
장화가 진 무제 사마염에게 『박물지』 400권을 바쳤을 때의 일이다. 책을 읽은 무제는 공자가 “괴력난신에 대해서 말하지 말라”고 했다며, 귀신 이야기와 기이한 사건들을 다 빼고 『박물지』를 다시 정리하라고 했다. ‘괴력난신’이야말로 현실 사회의 질서를 중시하는 유교적 사유에서 이성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가장 위험한 개념이었기 때문이다. 4세기 중반, 『진기』 20권을 쓴 사관 간보도 ‘신’들을 ‘수집하여’ ‘기록한’ 책 『수신기』를 썼다. 세상에 버려지고 떠돌아다니는 이야기들이 사라지는 것을 차마 두고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간보가 모아들인 신들은 위대하고 신성한 신에서부터 유유자적하는 신선, 영험한 능력을 지닌 인간, 세상을 떠돌아다니는 귀신, 변신하는 동물, 요괴가 깃든 사물 등에 이르는 모든 존재들이었다. 그런데 다 수집하여 정리하고 보니, 아이코, 지금까지 듣지도 보지도 못한 이 기이한 책을 무엇이라고 정의내릴 것인가? 그래서 『수신기』를 ‘팔략’과 ‘미설’이라는 단어로 소개하였다. 기존에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장르라는 의미로 당시 서적 분류법이었던 칠략이 아닌 여덟 번째 장르 곧 ‘팔략’이라고 소개하고, 또 쓸데없고 잡다한 이야기 모음집이라는 의미로 ‘미설’이라고 설명한 것이다. ‘미’는 작고 자질구레하다는 뜻이니, 미설은 곧 작은 이야기 ‘소설’과도 의미가 통한다.
한줄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