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설가 이종하는 13살 때부터 경기도 성남에서 소년공으로 살아온 특이한 이력을 가진 작가다. 그 시절을 소설로 쓰지 않고는 자신의 문학의 발걸음을 앞으로 내디딜 수 없다는 듯, 작가는 자신이 소년공이 될 수밖에 없었던 가족사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부모님과 떨어져 살아야 했던 불우한 환경, 거기다 아버지가 창졸간에 세상을 떠난 상황에서 외가에서 산 유년 시절은 실존적인 성장의 바탕이 되었다. 다행히 외가 식구들이라는 울타리와 초등학교 5학년 때 담임 선생님의 사랑은 소년 이종하의 문학적 기반으로 작용한다. 이 작가의 자전 성장 소설은, 문학적인 자기 고백이면서 1970년대에 고향을 떠나 도시로 나와 살아야 했던 청춘들의 초상화다. 공장 노동을 감당하기 힘들었던 어린 소년이 경기도 성남이라는 도시에서 꿈을 버리지 않고 살아온 시간은 문학적 감동 이전에 삶에 대한 숙연한 감정을 갖게 한다. 작가 자신도 그 시절을 돌아보며 “학교 교실에서는 배우지 못할 가치관과 세계관을 몸으로 습득”(‘작가의 말’)했다고 했거니와 그것의 비밀은 역시 주어진 현실에 무릎 꿇지 않겠다는 “절실함”이다. 하지만 13살 소년이 처음에 해야 했던 공장 노동은 고통과 공포였을 것이다.
한줄평 (0)